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 유효 기간은?

by �특수문자� 2021. 4. 12.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이란?

학교 교육에서 한국사의 위상은 날로 추락하고 있는데, 주변 국가들은 역사교과서를 왜곡하고 심지어 역사 전쟁을 도발하고 있습니다. 한국사의 위상을 바르게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입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우리 역사에 관한 패러다임의 혁신과 한국사교육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하여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만든 시험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사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자발적 역사학습을 통해 고차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것 목적이라고 하네요.

 

 

A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의 특징 및 문제 유형

1. 시험의 특징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은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역사적 소양을 측정하고, 역사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시험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 다양한 응시 계층

  입시생이나, 각종 채용시험과 같은 동일한 집단이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과 직업군을 가진 사람들이 응시하고 있습니다.

- 국가기관인 국사편찬위원회가 주관합니다.

- ‘선발 시험’이 아니라 ‘인증 시험’입니다.
  합격의 당락을 결정하는 선발 시험의 성격이 아니라, 한국사의 학습 능력을 인증하는 시험입니다.

2. 시험 출제 유형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의 문항은 역사교육의 목표 준거에 따라 다음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역사 지식의 이해
역사 탐구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역사적 사실·개념·원리 등의 이해 정도를 측정합니다.
 연대기의 파악
역사의 연속성과 변화 및 발전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영역입니다.
역사 사건이나 상황을 시대 순으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역사 상황 및 쟁점의 인식
제시된 자료에서 해결해야 할 구체적 역사 상황과 핵심적인 논쟁점, 주장 등을 찾을 수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문헌자료, 도표, 사진 등의 형태로 주어진 자료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포착하거나 변별해내는 능력이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역사 자료의 분석 및 해석
자료에 나타난 정보를 해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정보의 분석을 바탕으로 자료의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역사 탐구의 설계 및 수행
제시된 문제의 성격과 목적을 고려하여 절차와 방법에 따라 역사 탐구를 설계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결론의 도출 및 평가
주어진 자료의 타당성을 판별하고, 여러 자료를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A

3. 시험 요강

시험종류 심화 기본
인증등급 1급(80점 이상) 4급(80점 이상)
2급(70~79점) 5급(70~79점)
3급(60~69점) 6급(60~69점)
문항수 50문항(5지 택1형) 50문항(4지 택1형)
평가내용 한국사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사의 주요 사건과 개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역사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 한국사의 흐름 속에서 시대적 상황 및 쟁점을 파악하는 능력 기초적인 역사 상식을 바탕으로 한국사의 필수 지식과 기본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능력

 

4. 활용 및 특전

「공무원 임용시험령」 개정, 5급 공채 응시 자격화(’ 10.2.12.)
- 2012년부터 동 시험 2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인사처 시행 5급 공채 및 외교관 후보자
  선발시험에 응시 자격 부여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규칙」 일부 개정, 교원임용시험 자격시험화
(교육과학기술 부령 제169호, ’ 12.12.28.)
- 2013년부터 동 시험 3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교원임용시험 응시 자격 부여
국비 유학생, 해외 파견 공무원, 이공계 전문 연구요원(병역) 선발 시 한국사 시험을
동 시험 3급 이상 합격으로 대체
2014년부터 동 시험 2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인사처 시행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에 추천 자격요건 부여
「헌법재판소 공무원 규칙」 개정, 5급 공채 응시 자격(’ 13.12.10.)
법원공무원 규칙」 개정, 5급 공채응시 자격화(’ 14.4.3.)
「공무원 임용시험령」 개정,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가산점 부여(’ 15.5.6.)
4대 사관학교(공군·육군·해군·국군 간호사관학교) 입시 가산점 부여(’ 16.)
2017년부터 수능에 한국사 필수과목 지정(중고생 응시 증가)
「군무원 인사법 시행령」 개정, 군무원 5․7․9급 공채 응시 자격화(’ 16.11.22.)
- 2018년부터 군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한국사 과목을 동 시험으로 대체
일부 공기업 및 민간기업의 직원 채용이나 승진 시 반영
「공무원 임용시험령」 개정, 7급 공채 동 시험 2급 이상 응시 자격화(’ 18.12.18.)
-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 21.) 및 지방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21.)
경찰청 및 해양경찰청 순경 등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한국사 과목을 동 시험으로
대체 예정(’ 22년 적용)

※ ’20년 기준 연간 232개 기관(중복 포함) 175,238명 인증정보 제공

 

A

5. 인증서 유효 기간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인증서에 유효기간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성적과 인증서는 영구적으로 열람 및 출력이 가능합니다.

다만 인증서를 요구하는 각 기관에서 별도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댓글